top of page

단백질 턴-오버 제어 장치의 세포 내 핵심적 기능 : E3 ubiquitin ligase의 중요성

식물의 성장, 발생, 분화의 분자적 조절기구의 이해는 유용 식물체 및 농작물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식물의 성장은 세포분열과 세포생장에 의해 결정되며, 그 후 각각의 조절인자의 활성을 통해 식물의 각 조직과 기관으로 발생, 분화된다. 식물의 성장, 발생, 분화 과정은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서 발생/분화 과정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조절유전자의 활성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활성 유전자의 조절에 있어서 호르몬의 신호 전달 체계와 그와 관련하여 단백질 분해 과정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발생 프로그램은 위에서 서술하였듯이 외부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생물/비생물 (biotic/abiotic)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변화되는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성장변화, 생리적 반응 및 그 방어 기작에도 단백질 턴-오버 과정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단백질 분해 과정은 여러 세포내 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26S proteasome을 경유하는 ubiquitination-26S proteasome 시스템은 세포주기 조절, 생체 시계, 전사, 항체 생성 과정에서와 같이 특정 단백질의 조절된 턴-오버를 담당하는 주요 과정이다 (Pickart and Eddins, 2004; Smalle and Vierstra, 2004; Stone et al., 2005; Kraft et al., 2005; Mukhopadhyay and Riezman, 2007).

고등식물의 성장/발생/분화 및 노화의 모든 과정은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과 이미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의 분해 과정이라는 “단백질 주기 (protein cycle)”에 의해 정확히 조절된다. 이 “단백질 주기”에 의해 고둥식물의 세포 내 단백질의 약 50%가 매 일주일마다 분해되고 또 새롭게 합성된다 (Vierstra, 1993). 분자생물학 및 세포생물학의 발달로 전사 및 단백질 해독 작용에 관한 연구는 실로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고 또 지금도 발전하고 있지만, “단백질 주기”에서의 단백질 분해과정에 대한 중요성과 구체적인 기전은 최근에 들어서야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Vierstra, 2003). 이 단백질 턴-오버 과정은 잘못 합성되거나 3차구조가 망가진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필요한 아미노산 단위체를 공급하는 기능 뿐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rate-limiting 효소나 조절 네트워크 인자를 분해, 제거함으로써 식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성장과 발달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Smalle and Vierstra, 2004).

고등 생물체에서 단백질 턴-오버 과정의 대표적인 것이 ubiquitin (Ub) pathway이다. Ub은 7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작은 폴리펩타이드이며 모든 진핵체 생물체에서 발견된다. Ub이 기질 단백질의 라이신 아미노산에 결합하게 되면 많은 경우 기질 단백질은 26S proteasome complex에 의해 분해된다 (Moon et al., 2004; Smalle and Vierstra, 2004; Dreher and Callis, 2007). 이러한 ubiquitination-26S proteasome 시스템에는 3가지 종류의 효소가 관여하는데, Ub-activating enzyme (E1), Ub-conjugating enzyme (E2), Ub ligase (E3)가 바로 그것들이다. Ub-activating enzyme E1에 의해 활성화된 Ub은 Ub-conjugating enzyme E2에 접합되고, 마지막으로 E3 Ub ligase에 의해 분해 될 운명의 특정 단백질에 옮겨짐으로써 26S proteasome으로 단백질을 운반하는 신호 역할을 하게 된다 (Pickart and Eddins, 2004; Mukhopadhyay and Riezman, 2007). 고등 생물의 단백질 분해 과정 경로를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 1>과 같다.

Ubiquitination.png

고등식물 연구의 모델로 사용되는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의 경우 전체 프로테옴의 5% 이상이 ubiquitination-26S proteasome 시스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malle and Vierstra, 2004; Stone et al., 2005). 그런데, 애기장대에는 E1 효소는 2 종류, E2 효소는 37 뿐이며, 그 외에 26S proteasome complex subunit 단백질과 deubiquitinating 효소도 극히 제한된 종류만이 존재한다. 반면, E3 Ub ligase 효소는 약 1,300 여 종류가 존재하여서, ubiquitination-26S proteasome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E3 Ub ligase이다. E3 Ub ligase는 분해되어야할 단백질에 특이성을 부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세포내 여러 활동을 제어하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Moon et al., 2004; Smalle and Vierstra, 2004; Stone et al., 2005; Kraft et al., 2005; Dreher and Callis, 2007).

지금까지 밝혀진 E3 Ub ligase는 E3를 이루는 subunit의 형태에 따라 크게 2가지 family로 나눈다. Anaphase-Promoting-Complex (APC)와 Skp1-Cullin-F-box (SCF) 타입의 E3 Ub ligase는 multiple subunit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면 HECT, RING 및 U-box-motif E3 Ub ligase는 single subunit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2>는 3가지 종류의 single subunit E3 ubiquitin ligase의 작용 모드를 보여준다.

<그림 1> 고등 생물체의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ubiquitination-26S proteasome 단백질 턴-오버 과정

E6-AP (HECT domain)은 최초로 밝혀진 E3 Ub ligase이다. 다양한 생물 종에서 적어도 10개 이상의 단백질이 E6-AP domain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 후 RING finger protein은 두 번째로 밝혀진 E3 Ub ligase로서 1990년대 초반 연구될 당시에는 단백질-핵산 상호 작용의 중간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어졌다. 그러나 그 중의 상당수가 단백질 턴-오버 과정에 있어서 E3 Ub ligase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7개의 시스틴과 하나의 히스티딘 잔기 (C3HC4) 혹은 6개의 시스틴과 두 개의 히스티딘 잔기 (C3H2C3)로 구성되는 아연이온 접합 부위에 의해 안정성이 유지된다. 애기장대에는 최소한 469 종류의 RING E3 Ub ligase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Stone et al., 2005). 마지막으로 U-box 단백질은 그것의 3차 구조가 RING finger 단백질과 매우 유사하지만 8개의 잔기와 아연이온 대신 수소결합이 이 단백질의 안정성을 결정한다. <그림 3>은 RING 단백질과 U-box 단백질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림 2> Single subunit로 이루어져 있는 3종류의 E3 Ub ligase

E3.png
ubi3.jpg

<그림 3> U-Box domain과 RING finger domain의 3차 구조 비교 (Ohi et al., 2003)

앞에서 기술한대로 단백질 턴-오버 과정과 E3 Ub ligase는 식물의 생장과 분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식물의 성장, 발생, 분화 과정이 식물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호르몬에 의해서 뿐 아니라 생물/비생물 (biotic/abiotic) 외적 환경 자극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 식물의 성장, 발생에 대한 생리적, 생화학적, 분자유전학적 연구는 우리나라 식물학자들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매우 빠르게 진행된 결과 큰 진전이 있어 왔지만,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단백질 턴-오버 과정을 통한 식물 생장 제어 장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 건조 스트레스 내성 반응으로 일어나는 고등식물의 성장, 발생 및 신호 전달 과정 네트워크의 컨트롤-모드를 단백질 턴-오버 과정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 이 결과를 통해 규명한 건조 스트레스 내성 조절 관련 U-Box/RING 유전자를 이용하여 친환경 신기능 형질전환 식물체를 개발하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 목표로 삼는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과정과 함께 도식화하면 <그림 4>와 같다.

ubi4.jpg

<그림 4> 연구의 추진전략 및 방법

bottom of page